베베터

# "닷컴버블 떠올라"…주식·원자재·코인까지 안오른 게 없다

광란의 자산시장 '거품 공포'

올해 목재 57% 뛰어 '사상 최고'

원유·구리·돼지고기·농산물 급등

비트코인은 물론 정크본드도 올라

닷컴버블 붕괴 예견했던 투자자

"경기 부진에도 호황, 위험 신호"

일각선 "과열 아닌 기회일 수도"

주식시장, 암호화폐 등 모든 자산 가격이 올해 초 대비 한꺼번에 급등하면서 세계 자산시장에 거품이 끼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월스트리트 전문가들은 호황을 구가했던 ‘광란의 20년대’(1920년대)나 닷컴 버블로 평가된 1990년대 후반을 연상케 하는 분위기라고 진단했다.

안 오른 게 없다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최근 극적인 가격 상승률을 보이고 있는 원자재는 목재다. 근월물인 5월 목재 선물 가격은 지난 23일 1000보드피트(bf)당 1370달러 선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가를 갈아치웠다. 올 들어 57.2%, 작년 6월 이후 세 배 뛰었다. 미국에서 주택 건설 및 리모델링 수요는 급증한 반면 벌목 인부 부족 등으로 목재 공급이 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목재 외에도 구리, 백금 등 산업용 금속과 돼지고기, 옥수수 등 식량자원, 가솔린과 서부텍사스원유(WTI) 등 에너지 가격이 올 들어 모두 상승했다. 미 주택 매매는 2006년 이후 가장 활발하게 이뤄지는 등 세계 부동산 시장도 뜨겁다.

미 증시에서는 S&P500지수가 올 들어 23번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며 11.3% 올랐다. S&P500의 실러 경기조정주가수익비율(CAPE)은 최근 20년 동안 최고치인 37.6에 도달했다. 증시 과열 여부를 진단하는 지표로 쓰이는 CAPE의 사상 최고치는 닷컴 버블 시기였던 1999년 12월의 44.2다. 전기자동차 기업 테슬라의 주가수익비율(PER)은 1130배 수준이다. 비상장 상태인 미 스타트업들은 1분기에만 690억달러(약 77조원)의 투자금을 조달하며 사상 최대 기록을 세웠다. 프랑스 등 주요국 증시도 사상 최고치를 달성했다.

증시보다 더 뜨거웠던 곳은 암호화폐 시장이다. 암호화폐 시가총액 1위인 비트코인 가격은 지난달 6만달러 선을 처음 넘어섰다. 스팩(SPAC·기업인수목적회사) 등이 공급하는 유동성이 흘러들어오면서 최근 정크본드(투기등급 채권) 시장이 닷컴 버블 시기를 연상케 할 만큼 뜨거워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사무실 공유기업 위워크의 채권 수익률은 스팩과의 합병설이 흘러나온 지난 1월 이후 25% 뛰었다.

거품에서 도망갈까 VS 올라탈까

시장에서도 슬슬 위험 신호를 감지하고 있다. 미 펀드평가사 모닝스타는 암호화폐 투자 비중이 높다는 이유로 미 자산운용사 에메랄드어드바이저스의 뱅킹앤드파이낸스펀드 등급을 최근 하향 조정했다. 비트코인 가격은 사상 최고가를 갈아치운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지난 23일 5만달러 선을 내줬다. 이달 초 미 증권사 이트레이드파이낸셜이 개인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중 70%가량이 현재 증시에 거품이 끼어 있다고 했다.

1980년대 후반 일본의 거품 붕괴와 2000년 닷컴 버블 붕괴,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주택담보대출) 사태를 예견한 유명 투자자 제러미 그랜섬은 “과거 거품은 경기가 완벽하게 좋아 보일 때 생겼지만 이번에는 경기 부진에도 불구하고 시장이 호황”이라고 진단했다. 최근 자산시장 호황의 배경으로 조 바이든 행정부의 대규모 경기부양책과 미 중앙은행(Fed)의 채권 매입 및 초저금리 정책 등이 지목된다. 그는 “시장의 자신감이 떨어지고 여러 문제가 동시에 터지게 되면 큰 고통이 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렇다면 투자자는 시장에서 지금 탈출해야 할까. 이를 두고 논란이 분분하다. 미 자산운용사 캠브리아인베스트먼트의 멥 파버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시장 가격이 상승했다고 해서 붕괴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며 “지금 시장에서 떠난다면 기회를 놓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고운 기자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1042680521

"닷컴버블 떠올라"…주식·원자재·코인까지 안오른 게 없다

"닷컴버블 떠올라"…주식·원자재·코인까지 안오른 게 없다, 광란의 자산시장 '거품 공포' 올해 목재 57% 뛰어 '사상 최고' 원유·구리·돼지고기·농산물 급등 비트코인은 물론 정크본드도 올라 닷컴버블 붕괴 예견했던 투자자 "경기 부진에도 호황, 위험 신호" 일각선 "과열 아닌 기회일 수도"

www.hankyung.com

# '뜨거운 관심'…SKIET 수요예측 경쟁률 '역대 최고'

1734개 기관 참여…공모가 최상단인 10만5000원

이달 28~29일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청약

[이데일리 유준하 기자] 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 SK아이이테크놀로지(이하 SKIET)가 희망 공모가격 최상단인 10만5000원으로 공모가를 26일 확정했다. 수요예측 경쟁률은 1883대 1을 기록했다.

 

1883대 1은 코스피와 코스닥을 통틀어 IPO 수요예측 역대 최고 경쟁률이다. 전체 주문규모는 약 2417조 원으로, 기존 역대 최고액이었던 SK바이오사이언스(302440)의 기록(약 1047조 원)보다도 2배 이상 많았다. 공모가가 10만5000원으로 정해짐에 따라 총 공모금액은 약 2조2460억 원으로 확정됐다.

특히, SKIET의 수요예측에 참여한 모든 기관투자자들은 공모 희망가 범위 상단인 10만5000원을 넘어서는 가격을 제출해 뜨거운 열기를 보였다. 또, 일정 기간 동안 주식을 팔지 않기로 하는 의무보유 확약 비율도 63.2%를 기록했다. 수요예측에 참여한 다수 국내외 기관투자자들은 6개월 이상 주식을 매도하지 않겠다는 의무 보유 확약 기간을 제시해, 회사의 미래 성장가능성도 높게 평가했다.

노재석 SKIET 대표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당사의 배터리 분리막 시장 내 확고한 지위와 향후 지속 성장성에 대한 높은 평가를 바탕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에 감사하다”며 “수요예측 기간 동안 뜨거웠던 당사에 대한 관심이 28일부터 시작되는 일반 공모청약에도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SKIET의 일반투자자 대상 공모청약은 총 공모주식수의 25%인 534만7500주를 대상으로 오는 28일부터 29일까지 이틀 동안 진행된다. 대표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과 JP모건이며, 공동 주관은 한국투자증권과 크레디트스위스(CS)가 담당하고, SK증권(001510), 삼성증권(016360), NH투자증권(005940)이 인수단으로 참여한다. 단, 일반투자자 공모청약은 외국계 증권사인 JP모건과 크레디트스위스(CS)를 제외한 국내 증권사들에서만 가능하다. 상장은 5월 11일 이뤄진다.

한편, SKIET는 지난 2019년 SK이노베이션으로부터 물적분할돼 설립된 회사로, 최고 품질의 리튬이온배터리 분리막(LiBS· Lithium-ion Battery Separator)을 생산하는 글로벌 톱-티어(Top-tier) 소재 솔루션 기업이다. 전기차(EV)와 IT 배터리용 분리막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용 소재인 플렉서블 커버 윈도우(FCW·Flexible Cover Window) 및 차세대 소재를 미래의 신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다.

SKIET는 지난해 프리미엄 습식 분리막 시장에서 1위를 차지했다. 특히, 전기차용 분리막 사업에서는 지난 2018년 대비 2020년 판매량이 490%나 껑충 뛰며 사장을 빠르게 장악해 나가고 있다. 현재 글로벌 생산능력은 약 10억㎡며, 폴란드, 중국 등지에서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른 2024년 생산능력은 매년 전기차 약 273만대에 분리막을 공급할 수 있는 약 27억㎡로 늘어날 전망이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250486629020056&mediaCodeNo=257&OutLnkChk=Y

'뜨거운 관심'…SKIET 수요예측 경쟁률 '역대 최고'

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 SK아이이테크놀로지(이하 SKIET)가 희망 공모가격 최상단인 10만5000원으로 공모가를 26일 확정했다. 수요예측 경쟁률은 1883대 1을 기록했다.1883대 1은 코스피와 코스닥을 통틀어 IPO 수요예측 역대 최고 경쟁률이다. 전체 주문규...

www.edaily.co.kr

# 퀄컴이 놓친 車반도체 그 회사…"삼성도 '70조 인수 카드' 고민"

 

"미중 갈등이 아니었다면 퀄컴이 3년 전에 품었을 회사죠. 삼성전자도 시너지 효과를 충분히 따져볼 가치가 있습니다."

26일 미국 월가의 JP모간이 다시 불을 지핀 삼성전자의 차량용 반도체업체 NXP 인수설에 대한 반도체업계 관계자의 언급이다. 월가 투자전문지 배런스에 따르면 JP모간은 최근 보고서에서 삼성전자의 M&A(인수합병)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NXP와 함께 텍사스인스트루먼트, 마이크로칩테크놀로지스 등 미국에서 생산시설을 운영하는 반도체업체를 후보로 거론했다.

퀄컴도 탐내…기술역량 뛰어난 선두업체

 

그중에서도 NXP는 최근 3~4년 동안 수차례 삼성전자(83,500원 700 0.8%)의 M&A 후보로 올랐던 네덜란드 업체다. IB(투자은행) 업계에서는 삼성전자가 2019년에 이미 NXP 사업장을 실사했다는 얘기까지 돌았다. NXP는 삼성전자의 미국 현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생산라인이 있는 텍사스주 오스틴시와 애리조나주에서 생산라인을 운영한다.

NXP는 차량용 반도체 분야 가운데 AP(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와 인포테인먼트, MCU(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 등의 기술 역량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 받는다. 독일의 인피니언이 사이프러스를 인수하기 전인 2018년까지는 NXP가 차량용 반도체 시장점유율 1위였다. 지난해 순위는 2위를 기록했다.

미국의 반도체업체 퀄컴이 반도체산업 역사상 가장 큰 규모로 기록될 뻔했던 440억달러(약 50조원)를 들여 NXP와 인수 계약을 체결했던 게 이런 배경 때문이었다. 당시 계약은 국제법에 따라 두 회사의 합병으로 영향을 받는 미국, 유럽, 한국, 일본, 중국 등 9개 국가의 승인을 받는 과정에서 미국과 갈등을 빚었던 중국 정부의 불허로 무산됐다.

이벤트 참여하기

인수예상가격 70조원…삼성 여력 충분

 

성전자가 NXP를 인수할 경우 인수가는 70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NXP의 시가총액이 지난 23일 기준 5만4100억달러(약 60조5800억원)를 기록했다.

삼성전자의 여력은 충분하다. 지난해 현금 보유액이 100조원을 넘는다. 단기금융상품을 포함하면 1년 안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이 120조원에 달한다. 이런 현금 동원력은 삼성전자의 인수설이 끊이지 않는 또다른 배경으로 꼽힌다.

성전자도 M&A 자체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지 않은 입장이다. 최윤호 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CFO·사장)은 지난 1월 실적 콘퍼런스콜(전화회의)에서 "3년 안에 의미 있는 M&A를 실현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재무 상황이나 M&A 현안에 대해 보수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CFO가 3년이라는 시기를 밝힌 것을 두고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일각에서는 전세계 차량용 반도체 시장점유율이 2% 수준에 그치는 삼성전자가 백악관 회의에 초청된 뒷배경이 NXP 등을 포함한 차량용 반도체업체 인수 시나리오 때문이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하만과 시너지…단기간에 시장 안착 '퀀텀 점프' 가능

 

삼성전자가 NXP를 인수한다면 차량용 AP와 인포테인먼트 분야에서 하만과 시너지를 우선 고려할 수 있다. 차량용 반도체 시장은 절대 강자가 없는 상황에서 시장 규모가 빠르게 커지는 분야로 꼽힌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전세계 차량용 반도체 시장 규모는 지난해 380억달러(약 42조8000억원)에서 2026년 676억달러(약 76조2000억원)로 확대될 전망이다. 또다른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자동차 1대에 들어가는 반도체는 2018년 400달러 수준이었지만 자율주행차가 대중화되는 2024년에는 1000달러를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박재근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는 "자동차용 반도체는 차량 부품이라는 특성상 납품할 때까지 장기간 검증이 필수적"이라며 "기술력으로만 시장에 진입하기 힘들기 때문에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는 차원에서 관련업체를 인수하면 시장을 선점하기 유리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실익 적다' 회의론도…주요국 견제·이재용 공백도 걸림돌

 

이런 분석에도 불구하고 삼성전자의 실익이 크지 않다는 회의론도 나온다. 삼성전자가 NXP를 인수하면 BMW나 포드 등 NXP의 기존 고객사를 상대로 자동차 전장(전자장비)사업을 안정적으로 확대할 수는 있지만 차량용 반도체 사업 특성상 큰 수익을 거두기는 어려울 수 있다는 분석이다.

NXP의 지난해 매출 가운데 차량용 반도체 비중이 44%로 나머지 매출은 사물인터넷(21%), 통신인프라(20%), 모바일(15%) 등 삼성전자의 사업분야와 겹친다.

퀄컴의 3년 전 인수전처럼 중국 등의 견제를 뚫고 인수 작업이 무사히 마무리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당시 인수전이 틀어지면서 퀄컴이 NXP에 물어준 위약금만 2조원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요국의 패권 경쟁에서 반도체가 핵심기술로 떠오르면서 최근 이런 견제 기조는 더 두드러지는 추세다. 영국은 최근 미국 엔비디아의 ARM 인수에 문제를 제기하며 제동을 걸었다. 중국은 미국 어플라이드머티리얼의 일본 고쿠사이일렉트릭 인수 심사를 보류하면서 인수전을 또다시 무산시켰다.

삼성전자 내부적으로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구속 상태에서 70조원 안팎의 M&A를 결단하기 쉽지 않다는 점도 걸림돌로 지적된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해 10월13일(현지시간) 네덜란드 에인트호번에 위치한 ASML 본사를 찾아 EUV(극자외선) 노광장비를 살펴보고 있다. 왼쪽부터 ASML 관계자 2명, 김기남 삼성전자 DS(디바이스솔루션)부문 부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마틴 반 덴 브링크 ASML CTO(최고기술책임자). /사진제공=삼성전자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42618164032424

퀄컴이 놓친 車반도체 그 회사…"삼성도 '70조 인수 카드' 고민" - 머니투데이

"미중 갈등이 아니었다면 퀄컴이 3년 전에 품었을 회사죠. 삼성전자도 시너지 효과를 충분히 따져볼 가치가 있습니다."26일 미국 월가의 JP모간이 다...

news.m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