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베터

# 삼성전자 역대 최대 배당금 13조원…어디로 흘러 갈까

황진환 기자

삼성전자가 16일 주주들에게 13조원이 넘는 역대 최대 규모의 배당금을 지급한다. 규모가 규모인지라 벌써부터 이번 배당금이 향후 금융투자업계에 어떤 영향을 가져올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 삼성전자, 역대 최대인 13조 1243억원의 배당금 지급

삼성전자는 이날 기존 결산 배당금인 보통주 주당 354원(우선주 355원)에 특별배당금 주당 1578원을 더해 배당금을 지급한다.

이에 따라 정규 결산배당과 특별배당을 합친 삼성전자의 배당금 총액은 사상 최대인 13조 1243억원에 달한다.

1년 전 배당금과 비교해 10조원 이상이 늘어난 액수다. 개인이 보통주 100주를 갖고 있다고 가정했을 때, 이번에 받는 배당금은 세전 19만 3200원이다.

삼성전자 주식을 54% 보유하고 있는 외국인 투자자도 약 7조 7천억원을 수령한다.

◇ 총수 일가 배당금 1조원 넘어…상속세 재원으로 쓰일 듯

이번 배당으로 삼성전자 1대 주주인 삼성생명은 약 9820억원(보통주 기준)의 배당금을 챙기게 된다.

최대 주주인 총수 일가가 받는 배당금도 1조원을 훌쩍 넘는다. 고(故) 이건희 회장은 삼성전자 보통주 4.18%, 우선주 0.08%를 보유해 배당금 7462억원을 받는다. 이 배당금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상속인들이 나눠 가지게 된다.

이재용 부회장과 홍라희 전 리움 관장은 각각 1258억원, 1620억원의 배당금을 수령한다. 총수 일가의 배당액만 총 1조 340억원으로, 대부분은 총수 일가의 상속세 재원으로 쓰일 것으로 보인다.

◇ 국내 증시와 환율 영향은?

삼성전자를 사들인 개인 투자자에게 지급되는 배당금 총액은 8천억원 규모이다. 외국인 투자자는 약 7조 7천억원을 가져간다.

통상적으로 배당금은 다시 주식 투자 자금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아, 실적 전망이 좋은 종목을 중심으로 매수세가 쏠릴 수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가 가져가는 7조 7천억원이 국내 증시에 재투자된다면 코스피가 다시 한번 상승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는 기대섞인 전망도 나온다.

환율 시장도 지켜봐야할 포인트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배당금을 본국으로 송금하는 과정에서 수요가 늘어나 원·달러 환율이 상승 압박을 받을 수 있다.

https://www.nocutnews.co.kr/news/5536506

 

삼성전자 역대 최대 배당금 13조원…어디로 흘러 갈까

삼성전자가 16일 주주들에게 13조원이 넘는 역대 최대 규모의 배당금을 지급한다. 규모가 규모인지라 벌써부터 이번 배당금이 향후 금융투자업계에 어떤 영향을 가져올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 삼성전자, 역대 최..

www.nocutnews.co.kr

# SK, 초급속 전기차 충전기 업체 시그넷EV 인수

스웨덴 전기차 업체 ‘폴스타’에 투자도

미국에 설치된 시그넷EV의 초급속 전기차 충전기. SK 제공

에스케이(SK)그룹 지주사이자 투자전문 회사인 에스케이(주)는 15일 이사회를 열어 초급속 충전기 제조회사인 시그넷이브이(EV)를 인수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시그넷이브이 지분 55.5%를 2930억원(신주 2100억원)에 인수하는 내용이다.

한국 업체인 시그넷이브이는 2016년 설립됐으며 350kW 초급속 충전기를 개발해 2018년 미국서 처음으로 인증을 받은 기업이라고 에스케이는 전했다. 초급속 충전기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5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 해 거둔 619억원의 매출은 대부분 해외 사업에서 비롯됐다. 시그넷 이브이의 해외 매출은 2018년 280억원에서 지난 해 510억원으로 늘었다.

글로벌 전기차 충전기 시장은 2021년 약33억 달러(3조 7천억원) 규모에서 2030년 220억 달러(25조원)로 연평균 24%의 고성장을 시현할 것으로 업계에서는 추정하고 있다.

에스케이는 시그넷이브이 인수를 통해 고품질의 충전기 제조 역량을 확보한 뒤 그룹의 반도체 및 정보통신 역량과 접목해 자율주행 전기차 시장에 대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에스케이는 이날 유럽 전기차 시장의 신흥 강자로 꼽히는 스웨덴의 폴스타에 약6천만 달러를 투자한다는 계획도 아울러 밝혔다. 폴스타는 볼보가 육성 중인 전기차 제조업체다. 2019년 하이브리드 전기차 ‘폴스타 1’을 시작으로 작년 순수 전기차 ‘폴스타 2’를 유럽과 중국 등에서 출시했다.

에스케이는 단순 지분 투자를 넘어 친환경 모빌리티 사업의 전략적 파트너로 폴스타와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추진할 계획이다. 폴스타는 에스케이를 비롯한 글로벌 주요 투자자로부터 총 5억5천만 달러를 유치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유럽과 중국을 포함한 글로벌 친환경 전기차 시장 공략을 강화할 계획이다. 올해 하반기 한국 시장에도 진출할 것을 검토 중이다.

http://www.hani.co.kr/arti/economy/marketing/991216.html

 

SK, 초급속 전기차 충전기 업체 시그넷EV 인수

스웨덴 전기차 업체 ‘폴스타’에 투자도

www.hani.co.kr

# IPO 대어 줄줄이 대기…상장된 다른 종목엔 악재?

올해 IPO 기업 시총 약 100조원…"비중 2002년 이후 최대, 공급 부담될 수도"

하이브·SK바팜 상장 당시 동일 섹터 지수 하락…"해당업종에 단기적으로 부정적"

 

올 상반기 기업공개(IPO) 최대어로 꼽히는 SK바이오사이언스의 일반 공모 청약 마감일인 10일 오후 서울 중구 NH투자증권 명동점에서 투자자들이 투자 상담을 받고 있다. 2021.3.10/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카카오뱅크 등 올해 기업공개(IPO) 대어들이 줄줄이 대기하면서 투자자들의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그러나 IPO 시장의 활황이 증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이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대어 입성시 같은 업종 내 다른 종목들의 주가에는 단기적으로 부정적이라는 것이다.

1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해 증시 입성을 앞둔 IPO 대어로는 SK아이이테크놀로지(SK IET), LG에너지솔루션, 카카오뱅크, 크래프톤, 카카오페이, 카카오페이지, 야놀자 등이 꼽힌다.

박승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경험적으로 IPO의 활황은 주식시장의 과도한 낙관을 반영하고 있었던 경우가 많았다"면서 "동시에 시장에 주식 공급을 늘려 수급에도 부담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한화투자증권에 따르면 올해 이미 상장한 25개사의 시가총액과 IPO가 유력한 기업들의 장외가격 기준 예상 시가총액의 합은 약 100조원 수준이다. 이는 현재 증시 시가총액의 약 4.5% 수준이다. 2002년 이후 약 19년만에 최대 수준이다. 특히 카카오뱅크와 크래프톤은 시가총액 30위 안에 드는 초대형주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형주의 상장은 투자자들의 선택권을 넓힌다는 장점도 있으나 증시 전반으로 봤을 때 공급 부담을 늘려 반드시 긍정적이지는 않다는 분석이다.

박 연구원은 "실적 장세가 마진율이 더 이상 오르지 못할 때 끝난다면 유동성 장세는 주식의 공급을 더 이상 받아내지 못할 때 끝난다"면서 "시총대비 10~20% 정도인 IPO 기업의 신주 공모와 알려지지 않은 기업들의 상장까지 감안하면 공급 부담은 더 클 것이다. 이런 변화는 펜데믹으로 촉발된 유동성 장세의 끝을 앞당기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올해 IPO 대어들의 입성은 섹터 내 대표주로 떠올라 지각변동도 촉발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섹터 내 다른 종목들의 경우 대어 상장 이전에는 밸류에이션 재평가 기대로 상승세를 보이지만 상장 직전에는 대표주 교체 가능성으로 하락하는 경향이 나타났다는 게 한화투자증권의 분석이다.

일례로 에스엠·JYP Ent·와이지엔터테인먼트 등 연예기획사들이 속한 코스닥 오락문화 지수는 지난해 8~9월 총 10% 상승했다. 벤치마크인 코스닥 지수(4.03%) 대비 상승 폭이 컸다.

반면 하이브(구 빅히트)가 상장된 지난해 10월 한달동안 오락문화 지수는 14.72% 하락했다. 10월 코스닥 지수 하락률(-6.54%)을 크게 웃돌며 코스닥 전체 업종 지수 중 두번째로 하락 폭이 컸다.

또한 지난해 5월초부터 바이오 대어 SK바이오팜 상장 1주일 전인 6월24일까지 KRX헬스케어 지수는 35.92% 올랐다. KRX헬스케어 지수는 코스피·코스닥 시장 대표 바이오 종목들을 담고 있다. 벤치마크인 KRX 300지수 상승률(11.70%)을 크게 웃돌았다. 그러나 SK바이오팜 상장 1주일전부터 상장당일(7월2일)까지 KRX헬스케어 지수는 4.68% 하락했다. 같은 기간 KRX300 지수는 0.35% 상승한 것과 대비됐다.

박 연구원은 "상장 전에는 섹터 내 다른 기업들이 밸류에이션 상승 기대로 올랐지만 상장 직전에는 대표 종목 교체 가능성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형 IPO로 주도주가 바뀌는 과정은 해당 업종에 단기적으로 부정적이었다"면서 "이번 IPO 특징도 각 섹터를 대표하는 기업들이 상장한다는 점에서 주도주가 교체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